엉덩이에 살이빠졌는데 왜 허리가 아플까?
안녕하세요 :)
곽영휘 코치 입니다!
엉덩이에 살이 빠졌는데 왜 허리가 아프지?

허리가 아플 때는 어떤 근육을 살펴봐야 할까요?
허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근육 전반을 봐야 하지만, 그중에서도 엉덩이 근육을 길러야해요!

허리통증이 있을때 허리 근육 자체를 돌봐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허리 주변의 근육으론 우선 척추기립근, 요방형근이 있어요.
그 외에 허리를 지지하는 늑근, 외복사근에 이어 광배근의 역할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직간접적으로 중요한 근육 중에서 허리 전체를 떠받쳐주는 아주 중요한 근육을 소개할까 해요
바로 둔근, 즉, 엉덩이 근육입니다!
사람이 직립보행을 해 두 발로 서는 순간부터 허리 통증은 필수적으로 예견된 일이었어요.
살면서 한 번도 허리가 아프지 않은 사람은 정말로 운이 좋은겁니다! 서 있는 자체만으로도 허리에 부담이 가는데 말이죠. 어쨌든 두 발로 서게 되면서 체중이 분산되는 시스템은 네발 동물의 그것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이루어집니다.
특히 상체의 무게까지 고스란히 하체에 전달되는데 그 경계에 있는 것이 엉덩이 근육이죠.
즉, 허리 이상의 무게를 엉덩이 근육이 떠받치고 있다고 생각해도 무방해요. 나이가 들어 엉덩이에 힘이 빠졌다면, 평소 운동을 게을리해 엉덩이 근육이 부실하다면, 큰 병을 앓고 난 후 이 부분이 유독 살이 빠져 버렸다면, 모두 허리 통증을 가속하게 되어버려요. 허리가 아프다고 하는 회원님들을 보면 엉덩이 근육에 힘이 빠져 있거나 혹은 이 근육에 긴장이 심해 경결까지 생긴 경우가 많습니다.
신장 기운이 약해 생기는 허리 통증

신장의 기운이 떨어지면 허리 통증은 물론, 만성피로와 면역저하 증상이 나타난다고해요.
그리고 엉덩이 근육의 힘과 살이 빠지죠.
엉덩이 근육을 비롯한 주변 근육을 강화해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해야 증상에 도움이 됩니다.
엉덩이 근육에 힘이 빠져 생기는 허리 통증을 허증(허해서 생기는 증상)이라고 해요. 한의학에서는 이를 신허요통, 즉 신장 기운이 허약해져 생기는 요통으로 분류한다고 해요(?) 한의학에서는 부신의 기능이 제대로 작용 못 할 때를 신장이 허하다는 뜻인 '신허'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 기능이 떨어지면 온갖 만성피로와 면역저하 증상이 생겨요.
또, 요추(허리뼈)의 불균형을 동반해 자율신경실조 증상이 생겨 허리 통증이 나타나죠. 이것도 신허요통이라고 합니다.
신장 기운이 떨어지면 엉덩이 근육의 힘과 살이 빠져요.
허리에서 나오는 신경이 엉덩이를 지나 다리 쪽으로 내려가게 되는데 이런 상황을 말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엉덩이 근육을 탄력 있게 만들어 허리 주변의 근육도 강화하고, 부신 기능이나 자율신경을 좋게 만들면 좋습니다!

만성적인 허리통증이나 은근하게 아픈 통증, 뻐근함이 지속하는 증상, 만성 디스크 질환 등은 모두 신허요통에 속해요. 이러한 신허요통은 신장의 기운을 보하는 혈자리에 약침을 상당량 주입하거나, 녹용을 비롯해 신장 기운을 북돋는 숙지황, 두충 같은 약재들로 내부 에너지를 보충해 주면 효과가 좋다고 한의학에서는 말해요.

엉덩이 관련 근육. 대둔근, 중둔근, 이상근이 허리 통증과 연관성 있는 엉덩이 근육
오랜 기간 잘못된 자세로 앉아서 일하거나, 잘못된 자세로 운동했거나, 갑자기 ‘억’ 하고 삐거나, 과도하게 허리를 사용하고 난 다음에 허리가 아프다면 대부분 근육 긴장으로 온 것 입니다.

엉덩이 옆부분을 구성하는 중둔근은 허리통증뿐만 아니라 골반의 안정성에도 상당한 역할을 해요.
그래서 무릎 통증과도 연관이 있는 근육입니다. 이 부분이 약해지거나 긴장하면 허리가 아프고, 좌우 균형을 못 잡아 발목을 자주 삐고, 고관절 움직임이 차이가 나면서 무릎 통증도 느끼게 되는거지요. 엉덩이 안쪽의 이상근이라는 근육도 허리통증과 연관이 깊어요!. 특히 이상근 주변으로 좌골신경이 지나가기 때문에 이 부분이 굳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허리 아플 땐 엉덩이 근육 풀어줘야
엉덩이 근육은 허리를 안정되게 받쳐 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허리통증에 매우 중해요. 허리가 아플 때 자칫 허리를 잘못 만지면 통증이 더 악화하기도 하는데, 엉덩이 근육을 풀어주는 것은 악화할 염려도 없고 상당히 효과를 보는 때가 많아요. 그리고 엉덩이는 비단 허리 통증뿐만 아니라 노화와 다른 부분의 통증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어요 엉덩이 힘이 빠지지는 않는지, 또는 긴장되지 않는지 항상 신경 써서 관리가 중요해요!
우리가 흔히 걸어다닐때 중둔근이 작용합니다!
크기도중간이고 위치도 중간에있어 중둔근이라하며 생활 밀착형이라 볼수있어요
골반의 안정화를 담당합니다!
엄청 중요한 근육중의 하나입니다

혹시 여러분들은 하루에 몇 시간씩 앉아 계시나요?
하루종일 운전을 하시는 기사님들을 포함해서 회사생활 하시는 많은분들
그리고 책상에서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까지 우리는 수면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생활을 하고있죠
조사결과 대한민국 국민 절반 이상이 하루평균 9시간 이상 앉아서 생활한다고 해요.
12시간 앉아있는 사람도 20%이상 이라고 하구요...
이렇게 오랜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면 엉덩이가 이완상태로 오랜시간 있게되고 점점 말랑말랑해지고

허벅지 뒤쪽(햄스트링) 근육도 계속 이완되게 되지요.
그로인해 결국 엉덩이와 허벅지 근육이 약해지고, 엉덩이근육에 기능이 많이 떨어지게 됩니다
엉덩이 근육이 약해지고 기능이 떨어지면 허리통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상체와 하체를 이어주는 중요부위가 바로 엉덩이 근육이기에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상체를 뒤로 젖힐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근육이기도 해요
또한 허리와 연결돼 있어 척추를 단단히 잡아주는 역할도 하죠

그래서 엉덩이 근육이 약해지면 허리에 무리가 가게됩니다
엉덩이 근육이 약해지면 그만큼 허리가 불안정 해지고
허리를 받치는 힘이 떨어져 척추기립근(허리근육)을 과하게 사용하면서 허리통증으로 이어지게 되는 겁니다.
이글을 보고 있는 회원님들께서는 ! 꼭해줘야 할운동들 !
1.엉덩이운동
2.하체운동
3.후면사슬 운동
이 세가지를 꼭 기억해주신다면 좋을거 같습니다 :)
오늘도 여러분들의 건강과 행복을 응원합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69번길 18 2층 202호
#야탑PT #야탑역PT #분당PT #엉덩의운동 #엉덩이근육 #운동생활야탑점